직장부터 일상까지, 데일 카네기가 전하는 '성공의 법칙'
“직장에서나 일상에서 사람들과의 관계가 정말 중요한 건 알지만, 내 마음대로 잘 안 된다. 대화가 더 즐거워지고 싶고, 누군가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알고 시작하는 것과 모르고 시작하는 것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데일 카네기의 『성공의 법칙』은 ‘어떻게 하면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더 나은 관계 속에서 성장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답을 주는 책입니다. 저는 이 책을 읽고 ‘상대방의 입장에서 먼저 생각하기’만 실천해도 굉장히 달라진다는 걸 느꼈습니다.
핵심 요약 (Brief Summary)
데일 카네기는 단순한 인간관계의 기술이 아닌, 상대방의 마음을 사로잡고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 수 있는 원칙들을 명쾌하게 제시합니다. 핵심은 상대방을 진심으로 존중하고 상대방이 원하는 것을 먼저 생각해보는 태도에서 출발합니다.
- 인간관계의 기본 원칙
- 타인을 설득하고 협력 관계를 만드는 방법
- 상대방의 마음을 움직이는 대화법
위의 내용을 중심으로, 책은 실제 사례를 통해 구체적인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주요 포인트/인사이트 정리
책에서 소개하는 조언들은 읽지 않고 지나쳐야할 내용이 하나도 없습니다. 결코 어려운 내용도 아닙니다. 책에 흥미가 없거나 읽기 귀찮으신 분들은 목차라도 꼭 읽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총 45강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이 중에서 '제가 이걸 미리 알았더라면 후회하지 않았을 조언', '지금 뼈저리게 깨닫고 있는 조언', '앞으로도 반드시 잊지말아야 할 조언'이라는 생각이 든 몇 가지만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톱밥은 톱질하지 마라
이미 지나간 일에 대해 계속해서 후회하거나 불안해하지 말라는 뜻입니다. ‘톱질이 끝난 뒤 남은 톱밥(과거)’을 다시 톱질해봤자, 아무 소용이 없다는 비유를 썼습니다. 실수를 했더라도 그로부터 교훈을 얻고 빨리 털어내야, 다음 행동을 제대로 할 수 있습니다.
업무 습관을 개선해 피로를 예방하고 효율을 증대하라
무작정 열심히 일하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며, 잘못된 습관(비효율적인 업무 방식, 불규칙적인 시간 관리 등)이 피로와 스트레스를 부추겨 효율을 떨어뜨린다는 것을 지적합니다. 직장이든 사업이든 점점 연차가 쌓이게 되면, 이전보다 전문적인 일을 맡게 됩니다. 점점 난이도 쌓여가다보니 나중에가서는 결국 벽에 부딪히게 됩니다. 평소에 빈번히 실수가 잦았던 부분을 기록해두고, 일을 하면서 어떻게 하면 이 실수를 줄일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도 함께 해야 새로운 일에도 빠르게 적응할 수 있습니다.
비난이나 지적보다 칭찬이나 감사의 말로 시작하라
다른 사람과의 대화나 협력을 시작할 때, 비판보다 칭찬이나 긍정적인 말로 문을 열라는 조언입니다. 인간관계에서 먼저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주면, 상대방이 훨씬 쉽게 마음을 열고 대화에 응하게 됩니다. 무조건 잘못을 꼬집고 지적하기보다, 상대의 장점이나 노력을 인정해주는 말로 시작하면 협업이나 설득에 더 효과적입니다.
제가 실제 예시를 한 번 가져왔습니다. 조던 피터슨의 강의에서 청중들이 질문을 하는 장면만 따로 모아놓은 것인데요. 청중들이 어떻게 질문을 시작하는 지 한 번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 뿐만 아니라 기업의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에서도 기관투자자,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이 CEO에게 질문을 할 때에도 무조건 감사의 말로 시작을 합니다. 저는 수없이 많은 연설이나 발표에서 청중들이 질문하는 모습들을 봐왔습니다. 열이면 열, 백이면 백 모두들 질문할 때 '발표 내용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라고 말을 한 뒤 질문을 시작합니다. 부끄럽거나 이상한게 아닙니다. 꼭 알아두셨으면 좋겠습니다.
Jordan Peterson Q&A at Cambridge's Caius College
두려움에 귀를 기울이지 마라
걱정과 두려움이 생기면, 그것이 어디에서 오는지 인식하되, 과도하게 거기에 매몰되지 말라는 메시지입니다. ‘두려움’이 생기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나, 이를 방치하면 불안이 커져 현실 이상의 문제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저는 이런 경우가 생길때마다 내가 가장 두려워하는 것이 무엇인지 노트에 정리를 합니다. 그러면 막연한 불안이 구체적 이슈로 드러나 대안 모색이 쉬워집니다. 그리고 어떻게 해결할 지 고민하다보면 두려움은 점차 줄어들고 빈 자리에 자신감이 차오르게 됩니다.
휴식을 습관화하라
‘열심히 일만 하는 것’으로 성공할 수 있는 시대가 지났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적절한 휴식과 재충전이 필수라는 조언입니다. 직장인들은 5일을 연속으로 일해야합니다. 금요일까지 미션을 성공적으로 마치기 위해서는 일하는 중간 중간 휴식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토요일, 일요일이라는 휴일이 있지만 가정이나 다른 사회 활동이 있다면, 저희가 쉬는 시간으로 급속도로 줄어들게 됩니다. 일보후퇴 이보전진이라는 말이 있듯이, 좀 더 멀리 도약하기 위해서는 쉬어가는 과정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대상 독자
- 직장에서 팀원·상사와 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분: 상호존중과 설득 노하우를 배울 수 있습니다.
- 영업·서비스직 종사자: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관계를 쌓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 인간관계 기술을 체계적으로 배우고 싶은 사회 초년생: 대인관계 스킬을 빠르게 익히는 데 유용합니다.
마무리
상대방을 진심으로 존중하고 그들의 관점에 서려 노력하고 끊임없이 자신을 갈고 닦다보면, 우리의 관계와 삶은 놀라울 만큼 달라집니다. 이 책을 읽는 여러분의 삶이 좀 더 나아지길 기원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여러분 인생의 등대가 되어줄 필독서를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